단면도의 종류
단면도의 종류
① 온단면도
물체의 기본 중심선에서 반으로 절단하여 물체의 기본적인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날 수 있도록 앞부분을 잘라 내고 남은 뒷부분의 단면 형상을 그린 것을 온 단면도라고 한다. 절단 부분의 위치와 보는 방향이 명확한 경우에는 절단선, 화살표, 문자 기호를 생략해도 된다.
② 한쪽 단면도
상하 또는 좌우가 대칭인 물체를 그림 Ⅰ-50과 같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부와 외부 모양을 동시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물체의 1/4을 절단하여 물체의 반쪽만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을 한쪽 단면도라고 한다.
③ 부분 단면도
물체의 일부분을 절단하고 필요한 내부 형상을 나타내기 위한 방법으로, 그림 Ⅰ-51과 같이 파단선을 그어 절단면 부분의 경계를 표시하여 나타낸 단면도를 부분 단면도라고 한다. 이때 부분 단면도에서 파단선은 자유 곡선을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④ 얇은 두께 부분의 단면도
개스킷, 박판, 형강 등에서 절단면이 얇은 경우에는 그림 Ⅰ-52의 (a)와 같이 절단면을 검은색으로 나타내며, 실제 치수와 관계없이 1개의 매우 굵은 실선으로 물체의 기하학적인 모양을 표현해야 한다. 또한, 인접하는 얇은 부분의 단면은 그것을 표시하는 도형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두며, 그 간격은 0.7mm 이상으로 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⑤ 계단 단면도
물체 전체에서 단면도에 나타내려는 부위가 일직선상에 있지 않을 때에 그림 Ⅰ-53과 같이 절단면이 투상면에 평행 또는 수직하게 계단 형태로 나타낸 단면도를 계단단면도라고 한다. 이때 절단선은 가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하고 양 끝과 주요 꺾이는 부분은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되 보는 방향을 명확히 표현한다.
계단 단면도는 복잡한 물체의 투상도 수를 줄이기 위하여 여러 개의 절단면을 1개의 단면도로 조합하여 그릴 때에 매우 효율적이다.
⑥ 회전도시 단면도
대부분 바퀴의 암(arm), 리브(rib), 훅(hook), 축(shaft)과 구조물에 사용하는 형강 등의 절단면은 일반 투상법으로 표시하기 어려우므로 물체를 수직인 단면으로 절단하여 90°로 회전시켜 투상도의 안이나 밖에 그린다. 이와 같이 그린 단면도를 회전도시 단면도라고 한다.
회전 도시 단면도를 투상도의 절단할 곳과 일치하는 부분에 그릴 때에는 그림Ⅰ-54의 (a)와 같이 가는 실선으로 그리고, 주 투상도의 밖으로 끌어내어 그릴 때에는 그림 Ⅰ-54의 (b)와 같이 가는 1점 쇄선으로 단면 위치를 표시하고 굵은 1점 쇄선으로 경계를 표시하여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또한, 파단선 사이에 외형선으로 나타낼 때에는 그림 Ⅰ-54의 (c)와 같이 그린다.
⑦ 조합 단면도
절단면을 2개 이상 배치하여 그린 단면도를 조합 단면도라고 하며, 복잡한 물체의 투상도 수를 줄이기 위해 사용한다. 그림 Ⅰ-55와 같이 절단선, 절단면의 경계와 화살표 및 문자 기호를 반드시 표시하여 절단면의 위치와 보는 방향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