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그용접(금속 불활성 가스 용접) 연속 단선 전극을 사용하는 아크용접 MIG용접가스 이산화탄소, 아르곤, 산소, 헬륨 이산화탄소 가스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CO2용접으로 불림 용가금속 자신이 소모전극이 되어 철사의 선단과 모재 사이에서 아크를 발생시켜 전극 자신이 용착하여 용접함 박판, 후판의 강용접 가능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탄 합금 등과 같은 비철금속에서 많이 사용 전류와 가스에 따라 용입 깊이를 변화시킬 수 있음. 전류밀도가 높을 경우 용입깊이 깊어짐. 헬륨-최대 용입, 이산화탄소-최소용입, 아르곤-중간용입
티그용접(텅스텐 불활성 가스용접) TIG는 텅스텐 불활성 가스용접 텅스텐 전극을 사용함 아르곤, 헬륨 등의 불활성가스로 보호 알루미늄, 마그네슘 합금,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등 비철접합에 반드시 사용해야하는 용접
금속의 결정(crystal) :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가 입체적으로 규칙적인 배열을 이루는 것
다결정체(polycrystalline) : 무수히 많은 결정들이 모여서 이룬 집합체
결정입자(crystal grain) : 결정체를 이루고 있는 작은 각각의 결정체, 주로 grain이라고 함.
결정입계(crystal grain boundary) : 결정 입자의 경계
공간격자(space lattice) : 금속 결정 입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이루는 격자
단위격자(unit cell) : 공간 격자의 최소단위(주로 단위정이라고 함)
격자상수(lattice constant) : 단위 격자의 모서리 길이(a,b,c로 표시)
축각(axial angle) : 축 사이의 각(α, β, γ로 표시)
단위정의 원자 구(sphere) 모델
■ 금속 결정구조의 특징
- 최 인접 원자의 개수가 많고 높은 원자 조밀도(atomic packing)을 갖음.
- 각 원자구는 금속 이온을 나타냄
- 결합의 방향성이 없음
- 금속 결정은 일반적으로 면심입방(face-centered cubic)구조, 체심입방(body-centered cubic)구조, 육방 조밀(hexagonal close-packed)구조를 갖음
■ 결정 구조가 갖는 중요한 성질
- 배위수(coordination number) : 각 원자에 최인접, 접촉하는 원자수
- 원자 충진율(atomic packing factor-APF) : 단위정 내에서 원자구가 차지하는 부피분율
용어정리 Crystal(결정) : Basis(원자나 group of atoms 또는 분자)가 lattice point에 입체적으로 질서 있게 배열한 것 Lattice point(격자점) : Crystal내 basis의 중심 위치를 점으로 표시한 것. Space lattice(공간격자) : Lattice point의 3차원적 집합. Unit cell(단위세포) : - Space lattice를 구성하는 가장 해석이 용한 최소 repeating unit - unit cell은 세 crystallographic axes로 정의되며, 이 세 vector들의 길이(a, b, c)와 이들이 서로 이루는 각(α, β, γ)를 unit cell의 lattice parameter(격자계수)라 함. Primitive cell(원시세포) : - Space lattice를 구성하는 최소 repeating unit - 반드시 1개의 lattice point만을 포함.
■ Lattice point를 공간에 배열하는 방법은 각 lattice point가 모두 같은 주변 환경을 갖는 경우 전부 14가지 뿐이며 이들을 14 Bravais Lattice라 함. 그러나 실제 결정은 종류가 많음. 그 이유는 각 lattice point에 위치하는 basis들이 다양하기 때문
■ Lattice + basis = Crystal Structure
■ 또한 이 Bravais lattice들은 lattice parameter의 특성에 따라 group 되어지며, 이를 7 crystal systems로 분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