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면 작업 중 아래와 같이 선 색깔이 바뀌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는 오류가 생긴 경우입니다.

 

이럴 때는 치수선에서 우측 마우스를 클릭해 보세요. 그리고 복구를 클릭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복구할 문제를 알려줍니다. 알려준 문제를 클릭하면 그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가 알려주니 사용해보세요.^^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쉘, 리브 기능 이용하여 도시락 만들기

 

1. 평면도에 가로 세로 150의 정사각형을 만들어 줍니다.

 
2. 40만큼 돌출해 줍니다.

 
3. 네 모서리를 모깍기 10씩 해줍니다.

 
4. 3D모형에서 '쉘' 기능 클릭한 후 두께를 3으로 주고 지울 면이 윗면을 클릭해 줍니다.

 
5. 안쪽 모서리를 6만큼 모깍기 해 줍니다.

 
6. 도시락 통 윗면을 잡아 스케치 시작 해줍니다.

 
7. 가운데 간단하게 선을 하나 그어줍니다.

 
8. 3D모형 - 리브를 클릭합니다. 평면에 수직한 칸막이가 필요하기 때문에 '스케치 평면에 수직'을 클릭하고 두께를 3mm로 설정해줍니다.

 
9. 3D모형 - 직사각형 패턴 - 피쳐 클릭 -  리브1 클릭 - 방향(마우스 포이트 모양) 클릭, 방향 양방향(마우스 포인트 옆쪽에 있음) 클릭 - 가로 선 클릭 - 열 개수 3입력 - 간격 35 입력 - 확인

 
10. 같은 방식으로 가운데 또 칸막이를 하나 만들어주고자 합니다. 다시 도시락 윗면을 잡고 스케치 시작을 해준 후 가운데 선을 하나 그어줍니다.

 
11. 다시 한번 리브 기능 클릭 후 두께 3mm를 줍니다.

 
12. 다음과 같이 완성되었습니다. 디자인 예쁘게 수정하여 다시 한 번 만들어보세요^^

 

밥 넣을 곳이 좀 커야 하나?? 그럼 아래처럼 하면 되겠네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윕 기능 활용하기

 
1. 만하게 이어질 수 있게 아래와 같이 스케치 해줍니다.

 
2. 방금 그린 스케치의 끝 선이 닿는 평면을 잡아 '스케치 시작' 합니다.

 
3. 선의 끝 점을 '형상투영' 합니다. 형상투영하면 끝 점을 잡을 수 있게 점이 생깁니다.

 
4. 형상투영 하여 생긴 점을 중심으로 지름 10짜리 원을 그려줍니다. 

 
5. 3D모형 - '스윕' 기능을 클릭한 후 경로 활성화 상태에서 처음에 만들어 준 긴 곡선을 잡아줍니다.(프로파일 방금 그린 원이 자동으로 잡혀있을 겁니다. 안 잡혀 있다면 프로파일 클릭 후 만들어 준 '원' 클릭)

 
6. 확인하면 다음과 같은 물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벤터 이용하여 물병 만들기

1. 대충 물병 모양을 만들어 줍니다.

 
2. 회전을 이용하여 돌려줍니다.

 
3. 쉘 기능 1mm 해주고 뚫을 면인 윗 면을 클릭해 줍니다.

 
4. 그럼 다음과 같이 안 쪽이 뚫려 있는 물병이 완성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1. 시트1 옆에 +버튼을 눌러준 후 기본경계와 ISO는 삭제해 줍니다.

2. 도면 옆에 플러스 클릭 -> 경계 우측마우스 클릭 -> 새 영역 경계 정의

 
3. 수평, 수직 영역 수를 0으로 설정해 줍니다. 

 
4. 도면의 위아래, 오른쪽 왼쪽에 있는 중심선에서 삼각형 모양만 삭제해 줍니다.

 
5. 좌측 상단에 두점 직사각형으로 가로 25, 세로 10의 사각형을 만듭니다.

 
6. 가운데 대각선 선을 그려주고 대각선 선만 클릭하여 '스케치만'을 클릭해 줍니다.

 
7. 직사각형 패턴을 이용하여 사각형을 가로로 2개 세로로 3개 지정해 줍니다. 거리는 가로 25, 세로 10입니다.

 
8. 그 옆으로 가로 50, 세로 10의 사각형을 하나 더 그려주고 가운데 대각선선을 넣어준 후 '스케치만'을 클릭합니다.

 
9. '텍스트'를 클릭한 후 임의의 점을 찍은 후 기계제도라고 쓰겠습니다.

 
10. '기계제도'를 ctrl + c, ctrl + v 해줍니다. 6번 붙여넣기 해주시면 됩니다.

 
11. 일치 기능을 이용하여 선의 중간점과 기계제도 가운데 점을 클릭해 줍니다.

12. 글자를 누르면 내용이 수정 가능합니다. 필요에 맞게 수정해 주세요.

 
13. 스케치 마무리를 눌러주면 경계의 이름을 설정하라고 나옵니다. 이름을 지정해주시고 저장해주세요.

 
14. 도면의 윤곽선을 잡고 굵기 0.5로 수정해 줍니다.

 
15. 경계 밑에 나오는 저장 도면을 더블클릭해주시면 도면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6. 주석 - 부품리스트 클릭 -> 물체 클릭 -> 하단에 부품도 작성 해주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투상도 방향 

 1) 실제 공작물의 가공 되는 방향을 고려

 2) 선반의 절삭 가공시 공작물 설치 방향 절삭 가공 방향등을 고려해야 함. 구멍 지름은 큰 쪽이 우측 배치, 축 지름은 큰 것을 좌측 배치 하는 것이 좋음.

 

상관체와 상관선 

 상관체 : 2개 이상의 입체가 서로 관통하여 하나의 입체가 된 모습

 상관선 : 상관체에서 각 입체가 서로 만나는 곳의 경계

 도면 뷰에서 2D 표현시에는 접하는 모서리 체크를 해제하고, 3D 표현시에는 접하는 모서리를 필수로 체크한다.

 

절단하면 안되는 부품

전체를 절단하면 안되는 부품 : 축, 스핀들, 볼트, 너트, 와셔, 멈춤 나사, 작은 나사, 키, 코터, 핀, 밸브 등

특정한 일부분을 절단하면 안되는 부품 : 리브류, 암류(기어, 핸들, 벨트풀리, 헬리컬 기어, 차륜 등의 암), 이 종류(기어, 스프로킷, 임레러 날개 등) 등 

 

2D 배치의 경우 은선과 음영처리를 끄고, 접하는 모서리를 체크하지 않는 것이 좋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