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청열 메짐 : 연강이나 탄소강은 200~300℃에서는 강도가 커지고, 연신율은 대단히 작아져서 메짐성을 갖게 되는데, 이때의 강은 청색의 산화 피막을 발생한다. 이것을 청열취성이라고 한다.
2. 적열 메짐 : 황(S)을 많이 함유한 탄소강은 950℃ 부근에서 인성이 낮아지게 되어 여린 성질을 갖게 되는 현상으로 단조나 압연 시균열이 생긴다.
3. 상온 메짐 : 인(P)을 많이 함유한 탄소강이 상온에서 인성이 낮아지는 현상으로 상온(냉간) 가공 시 균열이 생긴다.
4. 고온 메짐 : 강은 구리(Cu)의 함유량이 0.2% 이상이 되면 고온에서 현저하게 여리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반응형
'기계.금속 > 기계공작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 열처리(담금질, 뜨임, 불림, 풀림) (0) | 2020.03.17 |
---|---|
탄소강의 종류와 용도(일반구조용강, 기계구조용탄소강,탄소공구강,냉간/열간압연강판) (0) | 2020.03.17 |
탄소강의 조직(페라이트, 펄라이트, 오스테나이트, 시멘타이트) (0) | 2020.03.16 |
철강의 분류(순철, 탄소강, 주철 / 구조용 강, 공구용강, 특수 용도용 강 ) (0) | 2020.03.12 |
금속을 나누는 성질(물리적 성질, 기계적 성질, 화학적 성질) (0) | 2020.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