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열처리
재질을 단단하게 하기 위한 담금질, 재질에 인성을 주기 위한 뜨임, 재료의 조직을 연화시키기 위한 풀림, 주조나 단조 후 편석과 잔류 응력 등의 제거와 조직의 균일화를 위한 불림이 있음.
1. 담금질
O 재료를 단단하게 만들어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처리 방법
O 탄소강을 A3(910℃), A1(723℃) 변태점보다 30~50℃ 높은 온도로 오스테나이트 조직이 될 때 까지 가열한 후 일정 시간 유지시킨 후 물이나 기름등에 급랭시키는 조작.
O 탄소량이 많거나 냉각 속도가 빠를 수록 담금질 효가가 큼.
O 담금질한 조직은 일반적으로 내부 응력 및 취성이 큰 상태이므로 반드시 뜨임처리를 하여 내부 응력을 감소시켜야 함.
O 냉각 속도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마르텐사이트, 트루스타이트, 소르바이트 조직으로 나타남. 경도는 마르텐사이트>트루스타이트>소르바이트>오스테나이트 순.
2. 뜨임
O 담금질한 강은 단단하나 취약하여 균열이 발생하거나 깨지기 쉽다. 뜨임은 담금질에 의한 잔류 응력을 제거하고, 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O A1(723℃) 변태점 이하의 온도에서 일정 시간을 유지하고 나서 냉각시키는 열처리 방법
3. 풀림
O 강을 소성가공하면 가공이 진행될 수록 재료는 가공 경화에 의하여 단단해 진다. 풀림은 이 가공 경화된 금속을 연화시키고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고자 이루어 진다.
O A3(910℃) 변태점과 A1(723℃) 변태점보다 30~50℃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오스테 나이트로 변화시켜 일정 시간 유지시킨 후 공기 중이나 노 내에서 서서히 냉각시키는 것을 말한다.
4. 불림
O 강을 단조, 압연 등의 소성 가공이나 주조 작업으로 거칠어진 결정 조직을 미세화하여, 기계적 성질, 물리적 성질 등을 개량하고, 소성 가공에 의한 잔류응력을 제거시키는 열처리
O 강을 A3변태점(910℃) 또는 Acm선보다 40~60℃ 높은 온도로 가열한 후 공기 중에서 냉각시킨다.
'기계.금속 > 기계공작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강의 조직(페라이트, 펄라이트, 오스테나이트, 시멘타이트) (0) | 2020.03.20 |
---|---|
표면 경화 열처리(침탄법, 질화법, 숏피닝, 하드페이싱 등) (0) | 2020.03.17 |
탄소강의 종류와 용도(일반구조용강, 기계구조용탄소강,탄소공구강,냉간/열간압연강판) (0) | 2020.03.17 |
강의 온도에 의한 메짐성(청열취성, 적열취성, 상온취성, 고온취성) (0) | 2020.03.16 |
탄소강의 조직(페라이트, 펄라이트, 오스테나이트, 시멘타이트) (0) | 2020.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