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의 열처리

 재질을 단단하게 하기 위한 담금질, 재질에 인성을 주기 위한 뜨임, 재료의 조직을 연화시키기 위한 풀림, 주조나 단조 후 편석과 잔류 응력 등의 제거와 조직의 균일화를 위한 불림이 있음.

1. 담금질

O 재료를 단단하게 만들어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처리 방법

O 탄소강을 A3(910℃), A1(723℃) 변태점보다 30~50℃ 높은 온도로 오스테나이트 조직이 될 때 까지 가열한 후 일정 시간 유지시킨 후 물이나 기름등에 급랭시키는 조작.

O 탄소량이 많거나 냉각 속도가 빠를 수록 담금질 효가가 큼.

O 담금질한 조직은 일반적으로 내부 응력 및 취성이 큰 상태이므로 반드시 뜨임처리를 하여 내부 응력을 감소시켜야 함.

O 냉각 속도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마르텐사이트, 트루스타이트, 소르바이트 조직으로 나타남. 경도는 마르텐사이트>트루스타이트>소르바이트>오스테나이트 순.

 

2. 뜨임

O 담금질한 강은 단단하나 취약하여 균열이 발생하거나 깨지기 쉽다. 뜨임은 담금질에 의한 잔류 응력을 제거하고, 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O A1(723℃) 변태점 이하의 온도에서 일정 시간을 유지하고 나서 냉각시키는 열처리 방법

 

3. 풀림

O 강을 소성가공하면 가공이 진행될 수록 재료는 가공 경화에 의하여 단단해 진다. 풀림은 이 가공 경화된 금속을 연화시키고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고자 이루어 진다.

O A3(910℃) 변태점과 A1(723℃) 변태점보다 30~50℃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오스테 나이트로 변화시켜 일정 시간 유지시킨 후 공기 중이나 노 내에서 서서히 냉각시키는 것을 말한다.

 

4. 불림

O 강을 단조, 압연 등의 소성 가공이나 주조 작업으로 거칠어진 결정 조직을 미세화하여, 기계적 성질, 물리적 성질 등을 개량하고, 소성 가공에 의한 잔류응력을 제거시키는 열처리

O 강을 A3변태점(910℃) 또는 Acm선보다 40~60℃ 높은 온도로 가열한 후 공기 중에서 냉각시킨다.

 

반응형

+ Recent posts